본문 바로가기
건강

혈액투석 중인 고혈압 환자, 눈 건강은 어떻게 지킬까?

by jinjjaru 2025. 7. 30.
반응형

혈액투석 중인 고혈압 환자, 눈 건강은 어떻게 지킬까?

고혈압성 망막병증 위험과 관리법, 지금 꼭 알아두세요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 고혈압은 흔한 동반질환이며, 이로 인한 고혈압성 망막병증은 시력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눈의 혈관은 매우 가늘고 섬세하기 때문에 고혈압에 직접적인 손상을 입기 쉬우며, 혈압과 전신 건강에 따라 망막 변화가 급격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과 함께 눈 건강까지 챙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고혈압성 망막병증이란 무엇인가요?

고혈압성 망막병증은 고혈압으로 인해 망막의 혈관이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혈압이 높을수록 망막혈관이 두꺼워지고 좁아지며, 출혈이나 삼출, 시신경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변화 특징

망막 혈관 협착 혈관 벽이 두꺼워지며 시야 흐림
망막 출혈·삼출 붉은 반점, 시야 장애
시신경유두 부종 심한 경우 시력 저하, 실명 가능성

혈액투석 환자에게 더 위험한 이유

  1. 고혈압 지속 및 변동폭 증가
    투석 중 혈압이 급격히 변하거나, 투석 전후 혈압 차이가 심하면 망막혈관에 더 큰 손상을 줍니다.
  2.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
    혈관 내 수분과 전해질 농도 변화가 망막혈류에 영향을 줘 혈관 손상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3. 동반질환 많음 (당뇨, 고지혈증 등)
    당뇨망막병증과 동시 존재 시 실명 위험이 크게 높아집니다.

눈 건강 지키기 위한 실천 방법

1. 혈압 철저히 관리하기

구분 권장 혈압 목표 (CKD 환자)

일반 환자 130/80mmHg 미만
당뇨 동반 시 125/75mmHg 이하 권고
  • 투석 중 혈압이 과도하게 떨어지지 않도록 체액제거량(UF rate) 조절
  • 고혈압약(항고혈압제) 용량·시간 조절로 혈압 안정화

2. 정기 안과검진받기

검사 항목 주기

안저검사 최소 연 1회
OCT(망막 단층촬영) 이상 소견 시 정밀 촬영
시력검사·안압검사 매 투석 주기마다 병행 가능
  • 시야 흐림, 눈앞 점이나 섬광이 보일 경우 즉시 안과 진료

3. 혈액투석 중 체중 및 수분 관리

  • 건체 중(드라이 웨이트)을 정확히 설정
  • 체중이 지나치게 늘거나 줄지 않도록 일일 체중 기록
  • 염분 섭취 줄여 수분 저류 방지 → 혈압 안정에 도움

4. 혈당, 콜레스테롤 동시 관리

고혈압성 망막병증은 당뇨망막병증과 함께 진행되면 속도가 빨라지고 치료도 어려워집니다.

항목 관리 목표

혈당 (HbA1c) 6.5~7.0% 유지
LDL 콜레스테롤 100mg/dL 이하

이미 망막병증이 진행됐다면? 치료 방법은

치료법 적용 상황

항고혈압제 조절 혈압 불안정이 원인일 경우
레이저 치료 출혈 부위 혈관 소작
항-VEGF 주사 황반부종 동반 시
수술적 처치 출혈·망막박리 심한 경우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중요하므로, 정기적인 안과 추적 관찰과 혈압 관리가 핵심입니다.


결론: 눈은 한번 잃으면 되돌릴 수 없습니다

혈액투석 중인 고혈압 환자는 망막병증의 고위험군입니다. 그러나 올바른 혈압 조절, 정기 안과검진, 영양·수분·체중 관리를 통해 충분히 시력 손실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심장과 신장만큼 눈 건강도 함께 관리하는 통합적인 접근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반응형